마포구가 전통시장 내 화재 취약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마포·공덕시장 일대에 소방도로를 새로 확보하고, 비상소화장치 설치 및 상인 대상 화재 대응 훈련을 시행했다.
박강수 마포구청장이 마포소방서 관계자와 함께 비상소화장치 작동을 시연하고 있다. 지난 4월 4일 마포·공덕시장에서 발생한 화재는 골목형 구조로 인해 소방차 진입이 늦어지는 등 신속한 대응에 한계가 있다는 점을 드러냈다. 이에 마포구는 사고 직후 전통시장에 대한 전방위적인 재난 대응 체계 점검에 착수했다.
구는 전기, 소방, 가스, 건축 분야 민간 전문가들과 합동으로 전통시장과 상점가, 대규모 점포 등 총 21곳에 대해 집중안전점검을 진행했다. 이 중 마포시장과 공덕시장은 다수의 안전 미비 사항이 확인되어 고위험군으로 분류됐다.
문제 해결을 위해 마포구는 공덕동 256-6번지 일대의 구유지 내 적치물을 정비하고, 소방차 진입로를 확보하는 작업에 돌입했다. 경계 측량을 통해 도로 점유 실태를 분석한 뒤, 소방차 진입을 방해하는 노란 실선 5m 이내의 적치물 제거를 요청했고, 이후 실제 도색 작업도 완료했다.
이와 함께 구는 지난 6월 11일 시장 내에 비상소화장치 2대를 새로 설치했고, 12일에는 마포소방서와 공동으로 상인 대상 소화장치 사용법 교육 및 화재 대응 모의훈련을 실시했다. 이는 이론 중심의 캠페인에서 벗어나 실제 재난 상황에 대응할 수 있도록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다.
박강수 마포구청장은 7월 25일 직접 마포·공덕시장을 방문해 소방도로 확보 상황을 점검하고, 상인들과 함께 비상소화장치 사용법 교육에 참여했다. 현장 행정을 통해 실질적인 대응력 강화를 직접 챙기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마포구는 향후 마포소방서와의 협의를 거쳐 추가적인 소방 합동 모의훈련을 검토하고 있으며, 적치물 제거가 미이행된 구역에 대해서는 변상금 부과 등 행정 조치도 병행할 방침이다.
박 구청장은 “사고는 사후 수습보다 사전 예방이 최우선”이라며 “주민 안전을 위한 현장 중심의 점검과 실효성 있는 대응 활동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서원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