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 10명 중 5명 이상이 물가 상승과 같은 경제 변화를 이해하고 대응하는 방법을 배우고 싶다고 답해, 단순한 생계 지원을 넘어 변화에 적응하고 자립하는 역량을 키우는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은 지난 6월 26일부터 30일까지 경기도 성인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물가 상승에 따른 생계 영향 및 평생교육 수요’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은 지난 6월 26일부터 30일까지 경기도 성인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물가 상승에 따른 생계 영향 및 평생교육 수요’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86.6%가 생활물가 상승을 ‘매우’ 또는 ‘다소’ 심각하게 느끼고 있으며, 특히 여성(90.3%), 30대(88.5%), 50대(87.7%)에서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월평균 가구소득 276만 원 미만의 저소득층에서는 40.3%가 ‘매우 심각하다’고 답해, 취약계층이 물가 상승에 더 큰 부담을 느끼고 있음이 확인됐다.
생계에 영향을 받고 있다는 응답은 전체의 70.4%에 달했으며, 이 중 19.0%는 ‘매우 어렵다’, 51.4%는 ‘약간 어렵다’고 응답했다. 저소득층의 경우 ‘매우 어렵다’는 응답이 32.8%로 전체 평균보다 높게 나타나, 물가 상승이 취약계층의 삶에 직접적인 타격을 주고 있음을 시사한다.
물가 안정 정책에서 가장 우선돼야 할 품목으로는 달걀(41.2%)이 가장 많았고, 이어서 쌀(18.2%), 야채(13.4%), 돼지고기(9.4%) 순이었다. 특히 고령층과 저소득층에서 기초 식재료 가격에 대한 민감도가 높게 나타나, 필수 소비재 가격 안정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물가 상승에 대응하기 위한 교육 수요를 묻는 질문에는 ‘경제 흐름과 물가 구조에 대한 이해’가 54.0%로 가장 높은 응답을 얻었다. 또한, 전체 응답자의 59.8%가 물가 대응 교육 참여 의향이 있다고 답했으며, 선호하는 방식으로는 ‘언제든지 시청 가능한 온라인 강의’(55.2%)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오후석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장은 “이번 조사 결과는 도민들이 물가 상승이라는 구조적 변화를 단순히 체감하는 것을 넘어, 학습을 통해 능동적으로 대응하려는 의지를 보여준다”며, 정부 바우처 제도인 ‘평생교육이용권’을 적극 활용해 도민이 필요한 경제 교육을 자율적으로 선택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경기도 평생교육이용권은 도민 누구나 경제적 제약 없이 평생학습에 참여할 수 있도록 강좌 수강료와 교재비를 1인당 최대 35만 원까지 지원하는 사업으로, 지급된 포인트는 평생교육시설, 평생직업교육학원 등 지정 기관에서 사용할 수 있다.

서원호
기자